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0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갈등해결과 결정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적 갈등해결 모델사회복지사가 윤리적 갈등에 직면했을 때 이를 적절하게 해결하기 위해서 는 일정한 원칙을 숙지하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사일리오와 코팔라(Sileo, Kopala, 1993)는 상담자가 윤리적 딜레마에 봉착했을 때 고려할 수 있는 A-B- C-D-E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사회복지사가 실천 현장에서 클라이언트를 직면할 때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평가(Assessment)'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상태와 자원, 상담자의 가치, 감정, 상황에 대한 반응을 파악하고 어떤 법/규율을 적용할 수 있는지 고려합니다. '도움 되기(Benefit)'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상담관계, 그리고 다른 특정 인물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합니다. '결과.. 2024. 9. 1.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적 의사결정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적 갈등과 의사결정사회복지실천에 임하는 사회복지사는 어떠한 실천행동을 선택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올바른 것인지 판단하기 힘든 경우에 직면하게 됩니다. 두 가지 이상의 가치가 상충하는 윤리적 갈림길에서 한 방향을 선택해야 할 때, 혹은 선택하고자 하는 각 대안이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에게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때, 두 가지 이상의 도덕원칙이나 의무가 동등하게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 원칙이나 의무들이 서로 모순되거나 충돌하는 상황, 즉 윤리 적 갈등 상황에서는 '최선'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도 빈번합니다. 윤리적 갈등의 유형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뉩니다. 첫째, 가치의 상충 유형입니다. 이는 사회복지실천에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중요한 가치들이 상충되는 상황에 처하.. 2024. 9. 1.
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윤리강령이란 하나의 전문직이 윤리적 실천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침을 규정한 것을 말합니다. 윤리강령은 전문직을 외부의 규정으로부터 보호해 주고, 전문직의 사명이나 방법론 관련 규범을 수립하는 기준을 제시해 줍니다.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실천직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사도 윤리적 실천을 수행해야 합니다. 리머(Reamer, 1995)는 사회복지윤리의 필요성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전문가 자신의 가치관과 다른 사람들(클라이언트, 지역주민, 동료전문가, 직장상사 등)의 가치관 사이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가를 체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둘째, 윤리적 딜레마의 실태를 이해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합니다. 셋째, 다수의 상이한 가치 사.. 2024. 8. 31.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사회복지에서 윤리적 실천의 중요성은 사회복지와 윤리의 관계와 사회복지 학문의 본질적 특성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사회복지실천직(職)은 '누군가를 돕는 전문직'으로 사회복지실천을 수행하는 전문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사회복지실천직은 인간과 사회를 대상으로 하여 그 체계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사회복지 학문의 본질적인 특성을 볼 때 윤리와 불가분의 관계에 놓이게 됩니다. 전문직으로서의 전문성과 다른 직업 영역과 구분되는 독점성, 그리고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위상은 높은 수준의 윤리기준을 요구합니다. 이처럼 사회복지 학문의 특성상 사회복지실천에서 윤리적 실천은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윤리적인 사회복지실천과 관련된 사회복지 학문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성은 현실성.. 2024. 8. 31.
사회복지실천에서 회복탄력성과 임파워먼트 회복탄력성회복탄력성(resilience)이란 '동일한 어려움 속에서 다른 사람들은 심각한 스 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로운 영향 없이 견뎌 내고 극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역경을 상대적으로 잘 극복한 사람들은 회복탄력성이 높다고 인정됩니다. 이 용어는 1970년대 이래 아동발달 연구에서 영아기, 유아기 또는 아동기, 청소년기의 위험조건과 불행한 사건들이 반드시 부정적 적응의 산물이나 병리적 현상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로부터 그 개념이 확립되었습니다. 또한 과거 진단적 모델의 관점에서 문제의 원인에 초점을 두고 비정상적인 발달에 관심을 두었던 것과 달리,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강점 관점에 기반을 두어 위기극복 능력과 가능성에 초점을 두는 인식의 전환과 그 맥을 같이.. 2024. 8. 30.
사회복지실천의 일반체계이론 일반체계이론일반체계이론의 이론적 틀에 의하면, 개인과 사회의 문제는 인과관계로 해석되기보다는 서로 연결된 전체로 볼 수 있습니다. 즉, 개인과 환경은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에 일방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개인과 환경이 상호적 관계로 이루어진 하나의 전체로 파악되어야 합니다. 체계(system)는 상호 의존적이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는 전체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한 인간은 팔과 다리, 머리, 가슴, 정신, 지능, 마음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처럼 유기적인 관계성 속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하나의 체계입니다. 체계의 구성단위들은 상호 의존적이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따라서 어느 한 부분의 변화는 전체로서의 체계와 그 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들 전체에 영향을 미칩니.. 2024.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