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역할
업무 특성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역할1첫째, 사회복지사는 직접서비스 제공자로서 클라이언트를 직접 대면하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역할은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가장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부분이고 사회복지사의 업무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직접서비스 제공자로서의 사회복지사 역할의 예는 실천현장에서 상담자, 심리치료자, 정보 교육자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직접서비스 제공자로서 사회복지사는 개별사회복지 수준에서 개인을 대상으로 상담을 하거나 부부 및 가족을 대상으로 치료를 제공하고(개인 세션, 공동 세션, 집단 세션을 포함), 집단사회복지 수준에서 집단 활동서비스(지지집단, 치료집단, 자조집단, 기술발전 집단을 포함), 정보의 교육자나 배포자, 교육적인 제안가의 역할을 맡게 됩니다. 둘째, 사회복지사는 ..
2024. 9. 4.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이해기준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이해기준 1사회복지실천 현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준이 필요합니다. 캐머먼 (Kamerman, 1995)은 사회복지실천 현장을 이해하는 기준을 다음 일곱 가지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개입의 초점(대상, 문제, 현장)에 따라 사회복지실천 현장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정 인구집단, 특정 문제, 현장(직장, 학교, 병원, 농촌 및 도시) 중심으로 구성되며, 이들 개별 분야에 대한 초점은 관련된 구체적 법규나 프로그램 등의 개입방법들을 규명해 나가는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둘째, 해당 현장의 역사적 대응방식을 기준으로 삼을 수 있습니다. 특정 집단이나 문제와 관련된 과거의 접근이나 서비스 방법을 살펴보는 것은 어떤 실천 분야에 관한 역사적 관심이 무엇인지와 함께 현재의 변화..
2024.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