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

by 가을씨 2024. 8. 31.
반응형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윤리강령이란 하나의 전문직이 윤리적 실천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침을 규정한 것을 말합니다. 윤리강령은 전문직을 외부의 규정으로부터 보호해 주고, 전문직의 사명이나 방법론 관련 규범을 수립하는 기준을 제시해 줍니다.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실천직을 수행하는 사회복지사도 윤리적 실천을 수행해야 합니다. 리머(Reamer, 1995)는 사회복지윤리의 필요성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전문가 자신의 가치관과 다른 사람들(클라이언트, 지역주민, 동료전문가, 직장상사 등)의 가치관 사이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가를 체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둘째, 윤리적 딜레마의 실태를 이해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합니다. 셋째, 다수의 상이한 가치 사이에 관계를 정립하고 위계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넷째, 사회복지의 현행 주류 가치가 얼마나 정당한가를 반성하고, 나아가서 시대적 조류에 맞는 가치를 정립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다섯째, 사회복지실천 방법을 개발하거나 전문가의 경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합니다. 로웬버그와 돌고프(Lowenberg, Dolgoff, 1988)는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이 가지는 주요 기능을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습니다. 윤리강령은 실천에서 제기될 수 있는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무능력한 실천가로부터 다른 능력 있는 실천가들을 보호하며, 정부의 통제로부터 전문직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고, 전문가들이 조화롭게 일하도록 도우며, 소송으로부터 전문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개정된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우리나라는 1970년대부터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의 제정 필요성이 논의되었습니다. 이후 한국사회복지사협회가 1982년에 시안을 마련하여 채택 및 공포하였고, 1988년에 1차 개정하였습니다. 이후 2001년 12월에 3차로 개정된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이 선포되었습니다.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사회적 가치를 확대해 사회적 책임에 대한 윤리의식과 행동방향을 설정하는 필요성에 의해 마련된 실천적인 행동강령입니다. 개정된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전문, 윤리기준, 사회복지사 선서의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다시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전문에서는 인본주의 사상과 평등주의 사상, 모든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 존중, 천부의 자유권과 생존권 보장, 사회정의, 평등과 자유, 민주주의 가치실현 등을 기본 이념으로 선언하고 있습니다. 둘째, 실천적 가치로서 클라이언트 개인의 주체성과 자기 결정권의 보장,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 개발, 전문가로서의 능력과 품위 유지 노력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셋째, 윤리강령의 핵심이 되는 윤리 기준에서는 사회복지사의 기본적 윤리기준,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기준, 동료에 대한 윤리기준, 사회에 대한 윤리기준, 기관에 대한 윤리기준, 사회복지 윤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의 차원들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 담긴 사회복지사의 윤리기준을 정리하면 크게 개인적이고 사회적이며 조직적인 차원의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 복지사는 첫째, 전문가로서 품위와 자질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둘째, 전문성 개발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합니다. 셋째, 업무와 관련해서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경제적 이득을 취하거나 꾀하지 않아야 합니다. 사회적 차원에서는 첫째, 클라이언트의 권익 보호 및 추구를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합니다. 둘째, 동료 사회복지사와 존중하고 신뢰하는 자세로 협력해야 합니다. 셋째, 사회 적 약자를 보호하며 대변하고 사회정의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조직적 차원에서는 첫째, 기관의 사업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둘째, 기관의 부당한 정책이나 요구에 대해 전문가로서 적절히 대응하고 사회복지윤리위원회에 보고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