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by 가을씨 2024. 9. 5.
반응형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실태를 고려할 때 한국의 사회복지사가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사회복지사는 자신이 속한 기관의 목적, 조직체계, 서비스 전달방식 등 기관의 조직적 특성을 이해해서 필요할 때 클라이언트에게 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전문직업인이자 노동자로서 지속적인 업무량 관리 및 자기 계발이 필요합니다. 제한된 시간에 많은 양의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업무관리가 필요함과 동시에 전문가로서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리고 현장에서 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부정적 스트레스 유발 상황을 마주하게 되는데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을 익혀야 합니다. 아울러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정부보조금 신청 및 기금조성, 후원자 개발을 위한 마케팅 전략의 업무도 담당하게 됩니다. 또한 사회복지기관들 사이에 서로 자원과 정보를 공유해 서비스의 중복을 줄이고, 부족한 서비스 개발에 힘써야 합니다. 그리고 지역의 환경적 맥락을 고려하고 주민들의 관심사와 의식, 지역 문제 등 지역사회조사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복지에 힘써야 하며, 지역사회 구성원이 자원봉사자나 후원자로서 기관과 협조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한국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주요 역할

최근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많은 사회복지사가 양성되고 다양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들에 대한 업무 환경과 처우가 많이 향상되기는 했으나 여전히 많은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복지 사회로의 길목에 선 오늘날 한국에서 사회복지사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구분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우선 사회복지사는 저소득계층을 위한 공적 부조를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로 이어지는 사회복지전달 체계를 운용하는데,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서비스 지원기관에서 공적 부조를 활용한 직접서비스와 간접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987년부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사회복지사 자격소지자로서 지방자치단체 행정기관에 배치되어 공공기관의 행정업무와 대인 서비스 등 직접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생활보호 업무를 비롯한 공공부조 서비스를 전달합니다. 공적 부조 영역에서 사회복지사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수급대상자 선정과 생활보장급여 전달 등의 생 활보장 업무, 「아동복지법」에 따른 아동복지 업무, 「노인복지법」에 따른 노인 복지 업무,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인복지 업무,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른 한부모가족복지 업무 등을 담당합니다.

사회복지사의 조직에서 조력자의 역할

그리고 지역사회복지 영역에서 한국의 사회복지사는 자원과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기술이 부족한 취약계층을 옹호하는 가치를 가지고 저소득층과 소외된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자원을 재조직화하여 다른 조직체와 연대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이때 조력자, 중개자, 옹호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됩니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과 관리를 위한 방안이나 운영구조 개선 등을 통해 조직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지역 내 기관들 간의 연계와 공동사업을 통해 지역복지 네트워크를 발전시키는 중재자의 역할 또한 중요합니다. 중범위 차원에 서는 서비스의 질 제고를 위한 직원교육, 슈퍼비전, 자원봉사자 교육 등 인적 자원 개발과 관리를 위한 훈련가의 역할을 수행하며, 거시적 차원에서는 지역 사회개발이나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을 증대시키기 위한 활동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더 나아가 소수집단의 이익을 대변하고 이들에 대한 불이익과 불합리한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행동과 지역사회 인식 개선을 위한 역할을 합니다. 아울러 현재 우리나라에서 다양한 사회복지사 관련 단체나 조직이 있듯이, 사회복지사들은 전문가 조직의 활동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전문가로서의 자기 계발, 실무 지식과 기술을 발전시키는 연구자 및 조사자로서의 역할을 행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