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개입 수준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역할

by 가을씨 2024. 9. 5.
반응형

개입 수준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역할

사회복지사가 만나는 클라이언트의 차원이나 사회복지사가 개입하는 수준에 따라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미시(개인과 가족에 대한 개입), 중범위(조직이나 집 단에 대한 개입), 거시(지역사회나 사회에 대한 개입), 전문가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개입 수준으로 미시적 차원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개인과 가족에 대한 역할로, 다음과 같은 역할이 미시적 차원에 해당됩니다. 첫째, 조력자(enabler)의 역할입니다. 이는 동반자로서 클라이언트를 격려하고 지지하고 안내하는 역할로서 사회복지사는 개인, 가족, 집단 등을 대상으로 클라이언트의 임파워먼트를 돕습니다. 즉, 클라이언트의 역량 및 권한 강화에 주력하여 그들 스스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능력을 향상하고 그 능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원조합니다. 둘째, 중개자(broker)의 역할입니다. 중개자는 '어떤 체계와 어떤 체계를 연결한다'는 연계의 개념으로 클라이언트들에게 이용가능한 서비스를 인식시키고,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확인해 인적, 물적 자원을 연결하며,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입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환경 및 자원 사정, 의뢰, 서비스 체계 연결,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셋째, 옹호자(advocate)의 역할도 미시적 차원의 역할로 볼 수 있습니다. 사회정의를 지키고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개인이나 집단, 지역사회의 입장에서 직접적으로 대변하고 보호, 개입, 지지하며, 일련의 행동을 제안하는 옹호자의 역할은 미시적 차원의 사회복지사 역할입니다. 넷째, 교사(teacher)의 역할입니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예방하거나 사회적 기능을 향상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가르칩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생활과 일상생활에 관한 생활기술 교육, 행동변화를 촉진시키는 과정, 1차적 예방활동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소개하는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역할, 상담가, 임상자, 사례관리자, 현장활동가, 평가자, 보호제공자, 교육자 등의 역할이 개입 수준으로 미시적 차원의 사회복지사 역할에 해당됩니다. 이들 역할 각각은 그에 부합하는 세부적인 실천 방법과 기술을 요구합니다.

사회복지사의 중범위 차원의 역할

다음으로 사회복지사는 기관 내 상호작용이나 조직 차원에서의 전문성을 개발하는 중범위 차원의 역할도 수행해야 합니다. 이러한 중범위 차원의 역할은 다시 다양한 유형으로 나뉩니다. 첫째,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로서 사회복지사는 기관 또는 조직 차원에서 조직의 기능이나 상호작용, 직원들 간의 협조나 지지, 정보교환 등을 촉진시키며, 조직 간의 연결망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둘째, 중재자(mediator)의 역할로서 기관이나 조직 차원에서 공동의 목표나 문제해결을 위해 기관 간 또는 기관 내의 의사소통 중 갈등이나 의견 차이를 협상과 타협을 통해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사는 중립적 입장에서 어느 한쪽 편도 들지 않으며, 서로의 입장을 이해시키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자원의 개발을 위해 집단이나 조직 간 네트워크 형성, 기관 간 혹은 기관 내 의사소통이나 갈등을 해소합니다. 셋째, 훈련가(trainer)의 역할로서 사회복지사는 슈퍼바이저의 역할을 수행하며, 기관이나 조직 차원에서 전문적 개발을 위한 직원 오리엔테이션, 세미나, 워크숍, 슈퍼비전 등의 활동에서 교육이나 훈련을 담당합니다. 넷째, 행정가 (administrator)의 역할로서 사회복지사는 인간서비스 조직에서 정책서비스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개발하며 이행하는 데 필요한 활동을 수행합니다. 그 외에도 중 범위 차원에서 사회복지사는 서비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다른 전문가들과 함께 일하며 자문을 구하는 자문가, 훈련, 슈퍼비전, 인사관리를 통해 기관 직원의 전문적 개발을 촉진시키는 직원역량 개발자, 정책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정보관리자로서의 역할도 합니다.

사회복지사의 제도적 차원의 역할

거시적 또는 제도적 차원에서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역할을 합니다. 첫째, 계획가(planner) 로서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나 사회구조에 관심을 갖고, 주민 전체의 욕구를 파악하고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기존의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 필요한 목표나 정책을 수립하며,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둘째, 활동가(activist)로서 지역사회나 거시적 차원에서 클라이언트의 이익과 권리를 침해하는 사회불평등이나 문제점을 인식하고 사회정의와 평등에 관심을 갖고 소외된 집단의 힘과 자원 확보를 위한 제도적 변화와 개인의 욕구 충족을 위한 서비스 환경을 조성하는 사회행동(social action) 중심의 적극적 역할을 합니다. 특히 활동가로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복지를 가로막는 사회적 조건들을 파악하고 사회행동을 통해 사회변화를 유도하며 이렇게 변화된 긍정적인 현상을 유지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셋째, 현장노동자(outreach worker)로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기다리기보다는 직접 찾아 나서는 활동을 수행합니다. 현장노동자로서 지역사회나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개인들을 파악하고 클라이언트가 적절한 서비스를 찾을 수 있도록 원조하는 기능을 갖습니다. 특히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확인하기 위해 지역사회로 찾아 나가 서비스 기관에 의뢰하기도 하고, 사회적 이슈와 사회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서비스가 필요한 잠재적 클라이언트를 파악하고 문제 예방을 위해 홍보와 지역사회교육을 실시합니다. 넷째, 변화주도자(change agent)로서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삶의 질을 향상하는 영역을 확인하고, 변화나 새로운 자원 획득을 옹호하기 위한 이익집단에 참여합니다. 다섯째, 자원동원가(resource provider)로서 사회복지사는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돕고 자원을 동원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사회복지사의 전문가 차원의 역할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는 전문가 차원에서도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는 사회복지학이나 관련 분야의 이론과 실천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방법을 발전시키는 역할입니다. 첫째, 동료로서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실무나 전문직의 발전을 위한 전문가로서의 윤리적 행동을 준수하고, 전문가 조직으로의 참여를 통해 사회복지사 동료 간의 상호관계를 형성합니다. 둘째, 촉매자(catalyst)로서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 전달체계의 발전 및 강화를 위한 활동으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개발하고, 사회환경적 정책을 옹호하며, 전문가 조직을 통한 국제적 상호원조를 맺어 나가는 등의 활동을 수행합니다. 셋째, 지식개발을 위해 실증적 조사연구 등을 수행하며, 동료들과 그 결과를 공유하는 연구자(researcher) 또는 학자(scholar)로서의 역할과 의사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자료수집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넷째, 평가자(evaluator) 또는 분석가(analyst)로서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자원을 평가하고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대안들을 마련하며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다양한 체계가 서로 어떻게 기능하는가에 관한 폭넓은 이론과 지식을 필요로 하는 사회복지사는 프로그램과 체계가 올바로 기능하는지에 대해 효과적으로 분석하거나 평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울러 자신이 개입한 내용에 대한 효과성도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