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실천에 대해

by 가을씨 2024. 8. 27.
반응형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실천

복지를 영어로 표현하면 welfare이며, 이는 'well'과 'fare'를 합성한 용어이 다. 이때 'well'은 '좋은', '만족스러운'을 의미하는 긍정적인 뜻이며, 'fare'는 '상 태'나 '삶'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앞에 '사회적'이라는 형용사를 붙인 사회복지 (social welfare)는 '사회적으로 좋은 상태' 또는 '사회적으로 평안한 삶'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기본적인 사회적 안녕을 의미하는 사회복지에 대해 다수의 학자 가 개념정의를 했습니다. 대표적으로 프리드랜더와 앱트(Friedlander, Apte, 1974)는 사회복지를 국민의 복지를 도모하고 사회질서를 원활히 유지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사회적 욕구 충족을 위한 제반 시책으로서 입법, 프로그램, 혜택(benefits)과 같은 서비스를 포함하는 사회적 제도라 하였습니다. 로메니신(Romanyshyn, 1971)은 사회복지를 개개인과 사회 전체의 복지를 증진시키 려는 모든 형태의 사회적 노력으로 보았으며, 사회문제의 치료와 예방, 인적 자원의 개발, 인간생활의 향상에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 일체의 시책과 과정을 포함한 개념으로 정의하였습니다.

전미사회복지사협회의 사회복지 개념

전미사회복지사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NASW)는 사회복지를 사회문제의 예방과 해결 및 개인, 집단, 지역사 회의 복지 증진을 추구하는 모든 종류의 조직적 활동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이상의 개념을 정리해 보면, 사회복지란 사회구성원 모두의 사회적으로 안녕한 삶을 보장하기 위해 사회문제를 예방하고 치료함은 물론, 사회적 욕구 결핍을 충족시키기 위한 제도적 시책과 서비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천과 학문의 한 영역으로 발전해 온 사회복지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지닙니다. 첫째, 사회복지는 사회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복잡한 사회관계에서 이해와 갈등을 조정함으로써 전반적인 사회의 안녕한 상태(well-being status)를 추구합니다. 둘째, 이러한 목적을 추구할 때 배제되거나 차별받는 사람 없이 모든 사회구성원을 대상으로 합니다. 셋째, 사회복지의 이상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사회적 자산과 생산의 분배에 대한 정의 실현을 추구합니다. 넷째, 한 개인의 노력이 아닌 집합적이고 조직적인 활동이나 노력을 필요로 합니다. 과거 우리나라에 사회복지가 처음 도입되던 시기에는 단순히 종교적 이념이나 가치를 기반으로 한 자선적 동기가 부각되어 social work가 사회사업으로 번역 및 통용되었습니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발전과 함께 단순히 조직이나 개 인의 자선적 동기에 의한 개별사회복지의 성격을 넘어 국가 및 정책적 차원의 제도적 접근을 지향하면서 social work와 social welfare 모두가 사회복지라는 용어로 사용되었습니다.

로메니신의 사회복지 개념

로메니신(1971)은 산업혁명 이후 도시화 및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자유방임적 자본주의를 거쳐 후기 산업사회로 변모하면서 사회복지의 개념도 자선과 교정, 복지국가, 복지사회로 변화되어 왔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패러다임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합니다. 첫째, '잔여적 관점'에서 '제도적 관점으로의 변화이다. 응급적이고 일시적인 잔여적 개념의 사회복지가 하나의 사회제도로 정당한 지위에 놓일 필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따라서 사회정의를 추구하는 보편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실천 (macropractice)이 사회복지실천의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부상하였습니다. 둘째, '자선'에서 '시민의 권리'로의 변화입니다. 19세기에는 중산층의 자선관을 반영한 사회복지의 개념이 시민혁명 이후에는 하나의 시민권의 개념으로 인식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복지권을 주요한 시민권으로 인정하여 법제 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였습니다. 셋째, '특수성'에서 '보편성'으로의 변화입니다. 사회복지가 빈민에 대한 특별 서비스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많은 사람이 보편적으로 갖는 욕구 충족을 위한 제도이자 프로그램이라는 인식으로 변화되었습니다. 제한된 서비스 수혜자를 위한 복지에서 전체 시민을 위한 복지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넷째, '최저 수준'에서 '적정 수준'으로의 변화입니다. 사회복지의 보장 수준은 최저 수준에서 적정 수준으로 변화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사회의 생산력 향상과 절대적 빈곤 개념을 상대적 빈곤 개념으로 대체한 배경이 있었습니다. 특히 사회정의와 통합의 관점이 강조되면서 사회구성원이면 기본적으로 영위해야 할 복지 수준이 사회적으로 적정한 수준은 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다섯째, '개인'에서 '사회개혁'으로의 변화입니다. 사회복지의 근거가 되는 문제발생 요인을 개인의 도덕적이고 기능적인 결함에서 찾던 초기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그 요인을 사회구조적 제도에서 찾는 관점으로 변화하였습니다. 따라서 사회복지가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라는 공감대가 확산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여섯째, '자발적 자선'에서 '공공'으로의 변화입니다. 16~17세기 영국의 빈민법이나 19~20세기 미국의 사회복지 활동은 자발적 자선에 크게 의존한 반면, 현대사회에서는 사회복지를 위한 정부의 역할과 개입이 점차 증가하였습니다. 일곱째, '빈민에 대한 복지'에서 '복지사회'로의 이행입니다. 초기 사회복지의 개념은 빈민에 대한 복지 개념이었으나, 현대에는 모든 사회제도가 모든 개인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가에 관심을 갖는 복지사회로의 개념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란 정의롭고 행복한 사회구성원들이 살아가는 토대를 구성하는 중요한 제도이자 체제로 인식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반응형